역류성 식도염 | 위나 장의 내용물이 식도 내로 역류하면서 식도 점막에 손상을 주어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. |
식도협착 | 위액의 역류에 의해 식도 표피에 생긴 염증이 진행됨에 따라, 식도의 내강이 좁아져 음식물을 삼킬 수 없게 되고 결국엔 식도가 폐쇄되는 질환입니다. |
한사범위(寒邪犯胃) | 원래 위장이 차가운 소인을 가진 사람이 냉한 음식을 과다 섭취하거나, 섭생을 잘못한 경우 비위의 기능이 정체되어 발생합니다. 따스한 성질을 가진 약 처방 및 침 치료, 환자 본인의 생활습관 개선으로 나아질 수 있습니다. |
음식소상(飮食所傷) | 식사시간이 일정치 않고 폭식을 자주 하는 경우, 과도한 음주나 자기 전의 음식 섭취 등 바르지 못한 식습관으로 발생합니다. 위장에 쌓인 독소(食積)를 배출하는 약 처방 및 침 치료, 환자 본인의 생활습관 개선으로 나아질 수 있습니다. |
우사울노(憂思鬱怒) | 현대인의 과도한 스트레스 근심 등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입니다. 과민해져 있는 소화기를 편해지도록 다스리고 억눌려 있는 감정을 해소시켜주는 처방 및 침 치료를 진행합니다. |
방노상신(房勞傷腎) | 글자 그대로는 과도한 성생활로 인한 원기쇠약으로 해석되지만, 넓게는 지속되는 과로로 식도염이 발생한 경우입니다. 인체의 근본인 신장을 튼튼히 해주고 떨어져 있는 위장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한약 및 침 치료를 진행합니다. |